[뉴스특보] 내일 태풍 '카눈' 한반도 관통…대비 행동요령은?<br /><br /><br />제6호 태풍 카눈이 북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강한 비바람을 품고, 느린 속도로 내륙에 머물 것으로 보여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남부지역은 이미 태풍 '카눈'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리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자세한 내용 백승주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안전학과 교수 모시고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카눈이 북상하고 있습니다. 제주도 서귀포 남동쪽 해상에서 시속 13㎞로 북북서진 중인데요. 이렇게 느린 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더 큰 피해를 불러올 수 있다고 하던데, 왜 그렇습니까?<br /><br /> 과거 태풍의 이동 경로를 보면 일본으로 향한 태풍이 일본에 상륙한 후 소멸했는데요. 카눈은 중국으로 향했다가 일본으로 방향을 틀었고, 다시 한반도를 향해 오고 있습니다. '갈지자' 이례적인 경로의 원인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한반도를 지나는 태풍은 보통 남서쪽에서 북동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 한반도를 종단으로 가로 특히 태풍의 위험반원에 드는 동쪽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릴 거란 전망이 나오는데요. 태풍의 오른쪽 왜 위험한 건가요?<br /><br /> 남해안에 상륙하는 카눈은 과거 태풍과는 다른 경로로 한반도를 관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2012년 이후 11년 만이라요?<br /><br /> 태풍의 이동 경로도 이례적이지만, 피해 또한 전혀 예상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하죠. 이렇게 이상 기후 현상이 잦아지면서 방재 시스템 변화의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우리나라 전체가 태풍 영향권에 드는 만큼 지역마다 특성에 따른 대비가 필요해 보이는데요. 해안가와 산지, 도시로 나눠서 가장 중요한 대비 요령 짚어주시죠.<br /><br /> 지난달 집중호우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했는데요. 집중호우로 지반이 약해진 가운데 아직 완전히 복구되지 않은 지역에선 추가 산사태 피해가 우려됩니다.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태풍 힌남노 때는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침수사고가 발생했고, 지난 달 지하차도 침수로 인한 인명피해도 있었습니다. 각종 지하 시설물에 대한 안전 대책,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지금도 태풍의 영향으로 전국 곳곳에 비가 내리고 있는데요. 점점 빗줄기가 굵어질 것으로 보이고 강풍을 동반할 것으로 보여 피해가 우려됩니다.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 주의해야겠지요?<br /><br /> 지난 2012년 9월에는 가을 태풍 산바가 북상했습니다. 경남 진주에 상륙한 뒤, 동해로 빠져나갔지만, 내륙을 관통하면서 피해가 컸습니다. 지금 이 시점에서 가장 당부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